티스토리 뷰



요즘 금값이 많이 요동쳤죠?

단기적으로 고점대비 조정을 보이고 있는데요

그래도 전문가들에 따르면 앞으로 금값 즉 금시세는 꾸준히 오를 가능성이 많다는 것입니다.

그이유는 불확실한 경제상황때문에 안전자산으로 몰리기 때문이라는데요.


아래의 글은 일반인들이 금에 투자하는 방법중 한가지 방법을 소개해 봤습니다.

저도 알아보니 일반인들이 금 현물에 직접투자하면 일단 수수료부분이나 세금적인 부분에서 손해를 보고 시작하기 때문에 유통업자가 아니고서는 이익을 볼려면 구매대비

많은 이익이나야 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아래와 같은 방법을 추천해 봅니다.

한번 보시죠 ㅎㅎ






질문 1. 지금 금시세로는 골드바 구매하면 손해가 큰가요..?비싼편인것같긴한데 경제악화로 지금구매해놓는게 나을것같기도하고요




답변 

금을 투자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종로3가 귀금속 거리를 가셔서 여러군데 돌아보시고 가장 저렴한 곳에서 세공하지 말고 금을 현금으로 매입하는 것이 가장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세공을 하게되면 깍여나가는 부분도 있고 추후 세공비가 손실로 남는데 그냥 매입을 하는것을 덩어리로 매입을 한다고 하는데 덩어리 매입이 소비자에게 가장 유리합니다.

​이 방법이 가장 유리한 방법이구요. 이 경우 돈 단위로 매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만일 시간과 거리상의 기타 제약으로 어려워서 구매가 주저 되신다면  개인적으로 이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은행에서 골드바나 금에 직접 투자를 하는 것은 비용이나 기타 여러 문제가 있어 그다지 추천은 드리지 않고 차라리 금통장을 만들어 소량이라도 지속적으로 투자하시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나중에 도움이 되시라는 의미에서 금통장 만들고 거래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좀 드릴까 하는데요
금통장은 아무 증권사에서나 개설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가까운 증권사를 신분증 지참하시고 방문하셔서 상담 받으시고 개설하시기 바랍니다.

​금통장은 소액으로도 금에 투자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인데요.

소비자가 일정액을 통장에 넣으면 은행은 금 국제시세와 달러 대비 원화 환율에 맞춰 해당 계좌에  금을 그램 단위로 적립해 주는 상품입니다. 

금이 실물로 오고 가진 않지만 금에 투자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원화가 아닌 달러로 투자되기 때문에 금통장은 금값과 환율변동이라는 두 가지 변수를 함께 고려해야 하는 단점도 있습니다.

​금값이 올라도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 수익이 떨어질 수 있으며, 반대로 금 가격이 하락해도  환율이 더 많이 상승하는 경우 수익률이 올라가게 됩니다. 금시세와 환률을 주의깊게 살펴보셔야 하겠죠.
​금통장은 원금이 보장되지 않고, 예금자보호법에 따른 예금보험공사의 보호를 받지 못한다는 점 명확히 알고 투자하셔야 겠습니다.






일반적인 금융투자상품 투자 위험도 5단계 중 두 번째로 높은 위험 성향인 ‘고위험’에 해당되며  만약 통장에서 금을 실물로 인출하고 싶다면, 부가가치세 1.0%도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는 점도 꼭 양지하셔야 합니다.


그러므로 매매차익 대상 배당소득세(15.4%)를 낼 수도 있기 때문에 막상 현금을 인출했을 때 실망할 수도 있습니다.


단,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이기 때문에 손실이 날 경우는 내지 않습니다.

보편적으로 목돈을 한 번에 예치하기보다는 전체 금융자산의 10% 미만 투자자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표적인 상품은 아래와 같이 세가지 정도를 들 수 있습니다.









신한은행 ‘신한골드리슈적립’



신한은행은 금실물의 거래 없이 통장으로 자유롭게 금을 입금할 수 있는 ‘신한골드리슈적립’을 판매한다. 

영업점이나 인터넷으로 거래가 가능한 이 상품의 가입 기간은 6개월 이상 60개월 이하로 1개월 단위다. 


​신규가입 때 1g 이상 거래하면 이후부터는 0.01g 단위로 거래를 할 수 있다. 

단 거래건당 미화 20만달러 이상일 경우엔 영업점에서 거래해야 한다. 매도 시 금을 원화로 


​매도하거나 영업점이 보유한 한도 내에서 금 실물로 인출할 수 있다. 

거래는 은행 영업시간 중 실시간으로 고시되는 가격에 따라 수시로 매입·매도가 가능하다. 


​부가서비스로는 주기적으로 매입량 또는 원화금액을 지정하면 자동 매입해 주고 40%의 스프레드 

우대혜택을 제공하는 자동매입서비스가 있다. 

또한 목표수익률이나 위험수익률 또는 목표가격 등을 미리 설정해두면 SMS로 통보해준다.





국민은행 ‘KB골드투자통장’



금 실물 인수 없이 자유롭게 금에 투자할 수 있는 수시입출금식 상품이다. 가입대상과 기간은  제한이 없다. 


거래 단위는 0.01g이다. 특정 날짜를 지정해 반복적으로 매입·매도를 원하는 소비자에게는 자동이체서비스를 제공한다. 






질문 2 금시세보다 골드바가 비싼이유가 뭔가요?



답변



​금 시세 순금 24K 1돈 1Kg 골드바 가격, 2019년 한국 국제 환율 금 보유량 저도 그것이 궁금해서 검색하고 금 가격 산출 방법 생각해 봤습니다.


​장신구는 디자인 + 가공 비용 + 판매 수수료+ 부가가치세 필요하기 때문에 되팔때 차이가 많은 것이 당연하지만, 단순히 보관하는 금 덩어리 골드바는 장신구가 아닌데, 개인이 금 매입후 다른 곳에 즉시 되팔 때, 판매 손실 큰 차이 발생하면 구매할 이유가 낮습니다.


​골드바가 진짜 금인지 순도는 신뢰할만한지, 그런 신뢰 브랜드 가치 때문에 골드바에도 매입 매출 차액이 발생하는 겁니다.





답변


재화 보존이 목적이라면, KRX 금거래소에서 매입하세요. 증권사 방문해서 계좌 개설하면 금 매입할 수 있고,


금 현물 인출하지 않으면 부가가치세 10% 발생하지 않습니다. 통화불안 요소가 해소되면 현금 인출하면 되고, 금으로 인출하면 부가세 10%+ 거래수수료 0.2%정도만 납부하면 됩니다.




답변 


KRX 금시장이 인기를 끄는 이유 중 하나는 세금 혜택이다. KRX 금시장은 장내 거래 시 부가세가 면제된다. 다만 매수한 금을 인출할 때는 부가세 10%가 부과된다. 또한 KRX 금시장은 금거래 시 양도소득세와 배당소득세, 이자소득세 등이 부과되지 않고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서도 제외된다. 반면 골드뱅킹이나 금 상장지수펀드(ETF) 매매차익은 15.4% 배당소득세가 부과된다.


​직접 수입 부가세 10% 납부하고 재화 보관하다, 위험 해소될 때, 다시 수출하면 부가세 10% 세금 환급 부가가치세 0원인데, KRX금거래소를 이용하는 것도 시세 투기 목적 아니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증권사 방문 금거래 계좌 개설하면 스마트폰으로 거래 할 수 있고, 인출하면 부가가치세 10% 발생하지만, 인출하지 않으면 부가가치세 면세, 양도소득세 면세 되고, 온라인 거래 수수료 0.2%만 지출, 통화 가치 위험할 때, 재화 보존 가치 나쁘지 않습니다.


이런 편리한 방법이 있었네요~

금투자에 관심이 많은데 소액으로 시작해 보고싶은 분들에게 비교적 편리하게 해볼 수 있는  투자법이라 하겠네요 하지만 주의사항도 있으니 잘 숙지하시고 금 투자에 임하실것을 추천드립니다.


현대사회에서 재테크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인것 같습니다. 하지만 충분한 이해와 노력이 없이는 성공하기 힘든것도 사실이구요 열심히 공부하고 노력해서 성공하는 재테크가 되시길 바랍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